Gom3rye
관계데이터모델과 제약조건 & 오라클 본문
8, 9, 10번 문제 풀이
8번 -> CS326 튜플을 참조하는 외래키가 없으므로 정상적으로 삭제된다.
9번 -> 참조하는 외래키가 있으므로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을 위배하여 DBMS가 옵션 중에 명시된 옵션을 실행하게 된다. 삭제 명령을 거절하거나 CS313을 삭제하고 이를 참조하는 튜플도 삭제해준다. (과목번호는 기본키에 들어가기 때문에 null, default값 넣을 수 없다. -> 패스)
10번 -> CS345를 참조하는 외래키가 있으므로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을 위배해서 DBMS가 옵션 중에 명시된 옵션을 실행한다.
- 1. CS345를 CS321로 수정하는 명령 거절
- 2. 연쇄(cascade) CS345를 CS321로 수정하고 참조하는 외래키가 있는 튜플에 가서 CS345를 CS321로 연쇄 수정한다.
오라클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저장 구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스페이스> 세그먼트> 익스텐트> 오라클 데이터 블록)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를 포함한다.
- 테이블스페이스는 데이터파일이라고 부르는 하나 이상의 파일로 구성된다. (시스템 테이블스페이스, 임시 테이블스페이스, 사용자 테이블스페이스 등으로 구분)
- 테이블스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 세그먼트는 특정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되는 익스텐트들의 집합이다.
- 익스텐트는 오라클 데이터 블록(운영체제의 데이터 블록이 아님)들로 이루어진다.
- 오라클 데이터 블록은 읽기와 쓰기 연산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데이터파일 내의 데이터를 오라클 데이터 블록들로 관리한다.)
728x90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스터디 4주차 (0) | 2022.04.10 |
---|---|
Database 스터디 3주차 (0) | 2022.04.03 |
Database 스터디 2주차 (0) | 2022.03.27 |
What is Database? (0) | 202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