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보통신공학 (6)
Gom3rye
IEEE 802 표준 번호에 대응하는 표준 IEEE 802.1 - Bridging (Internetworking) IEEE 802.2 - Logical Link Control (LLC) IEEE 802.3 - Ethernet (CSMA/CD) IEEE 802.11 - Wireless LAN (WLAN) IEEE 802.15 - Wireless PAN (WPAN) 계산 문제 Data rate가 400Mbps인 네트워크에서 아래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maximum utilization과 그 때의 offered load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Pure ALOHA - Offered load : 400 * 1/2 = 200Mbps - Maximum utilization : 400 * 0.18 = 72Mbps ..
Ring의 작동들 주관하는 장비 : Repeater 기능 : 데이타 전송, 받기, 제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상태 : listen state(1 bit time delay동안 매 repeater에 머무르면서 주소 체크), transmit state(자신의 repeater에 붙어있는 station으로부터 오는 데이타를 보내기 위해 그 순서를 기다렸다가 네트워크에 전달), by-pass state(1 bit time delay 없이 전송) LLC에서 접속된 장비에 따라 제공하는 서비스 (윗계층에서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어졌는지에 따라)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flow control, error control 전혀 제공 x, Just 빠르게!, LLC 윗계층에서 신뢰..
Softswitch의 두 가지 모듈 Media gateway (MG) : physical switching function Media gateway controller (MGC) : call processing logic - 전통적인 전화망 스위치에서 수행되던 기능들이 softswitch에서는 두 개의 모듈로 나누어졌다. (기능과 비용 면에서) Packet switching에서 virtual circuit vs datagram Virtual circuit - Log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fore packets are sent (circuit switching에서는 dedicated path) - Network can provide sequencing and error ..
What is (Effective) Bandwidth? - The relatively narrow band of frequencies that contain most of the energy in signal What is Attenuation-to-crosstalk ratio (ACR)? - Measure of how much larger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compared to crosstalk on the same pair - Pr > Pc (Pc : crosstalk) - ACR이 클수록 오류가 덜 난다. (bit error율을 줄일 수 있다.) Optical fiber 케이블이 다른 매체와 비교하여 가지는 장점 다섯 가지 1. Greater capacity ..
What is Protocol? - Peer layer communication을 위한 규칙들의 집합 What is Communication Network? - 노드들과 링크들의 집합 Circuit switching - 그 station만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dedicated communication path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방식 Packet switching - 패킷을 store-and-forward 방식으로 전송한다. Frame relay - 높은 data rate와 낮은 error rate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개발된 망이다. (Packet switching -> data rate 낮았고 error rate도 상당히 높았다.) Metropolitan Area N..
네트워크를 통해 data를 전송하기 위해선 여러 과제가 수행되어져야 한다. source는 communication path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destination network에게 data를 보낼 것이라는 것을 알려야 한다. destination이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알아야 한다. file을 보내고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컨펌해야 한다. 양방 간 format이 다를 경우 format translation 기능이 수행되어져야 한다. Protocol Architecture 양방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한꺼번에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layered structure을 이용해 과제들을 나누어 시스템들간 데이터 교환을 지원한다. 즉, 여러개의 과제 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