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m3rye
Linux 본문
입출력 방향 변경
표준 입출력 장치
- 리눅스에서 셸이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장치를 표준 입력 장치라고 하고 실행 결과를 내보내는 장치를 표준 출력 장치라고 한다.
- 기본적으로 표준 입력 장치는 키보드로 설정되어 있고 표준 출력 및 표준 오류 장치는 모니터로 설정되어 있다.
- 리눅스는 장치도 파일로 관리하므로 셸은 작업 중 파일에 일련번호를 붙여서 관리하고 이를 File Descriptor라고 한다.
- 표준 입출력 장치도 파일로 관리되기 때문에 File Descriptor가 부여되어 있다.
- 0 : stdin 표준 입력
- 1 : stdout 표준 출력
- 2 : stderr 표준 오류
- 표준 입출력 장치를 파일로 변경하기 위한 특수문자가 >,>>,<
- 표준 입출력을 파일로 변경하는 것을 redirection 이라고 한다.
출력 리다이렉션
- 파일 덮어쓰기 >
- 명령 > 파일명
- 파일이 없으면 만들어주고 있으면 기존 내용이 명령의 수행 결과로 대체된다.
- 파일의 존재 여부 확인 : ls out1 → 없음 → ls -al > out1로 만들어줌
- date 명령의 결과를 out1에 기록 : date > out1 → 기존 내용이 지워지고 date 명령의 결과를 out1에 기록
- i-node
- Index Node라고 불리며 파일을 기술하는 디스크 상의 데이터 구조
- 파일의 데이터 블록이 디스크 상의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 파일을 생성하게 되면 i-node의 link가 0인 위치에 i-node를 생성하고 정보를 저장한 다음 link 값이 1의 위치로 이동한다.
- i-node에 저장된 정보
- 파일의 종류, 소유권, 엑세스 모드, 타임스탬프
- 데이터 블록
-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
In Ubuntu, 실제 파일을 저장할 때는 i-node와 데이터 블록에 저장한다.
디렉토리 관련 명령
- pwd: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 cd: 현재 디렉토리 변경
-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고자 할 때는 cd ~또는 cd만 해도 된다.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
-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lib, cd ./lib
- 디렉토리 확인: ls
- a: 숨김 파일을 포함해 모든 파일의 목록을 출력
- d: 디렉토리 자체 정보
- i: 첫 번째 행에 i-node를 출력
- I: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
- A: .과 ..을 제외한 모든 파일 목록을 출력
- F: 파일의 종류 표시(*: 실행 파일, /: 디렉토리, @: 심볼릭 링크)
- L: 심볼릭 링크 파일의 경우 원본 파일의 정보를 출력
- R: 하위 디렉토리 목록까지 출력
728x90
반응형
'현대 오토에버 클라우드 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0) | 2025.05.20 |
---|---|
Linux (0) | 2025.05.20 |
Linux (0) | 2025.05.20 |
Linux (0) | 2025.05.20 |
파이썬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