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m3rye
Chapter 12] Ethernet 본문
IEEE 802 표준 번호에 대응하는 표준
- IEEE 802.1 - Bridging (Internetworking)
- IEEE 802.2 - Logical Link Control (LLC)
- IEEE 802.3 - Ethernet (CSMA/CD)
- IEEE 802.11 - Wireless LAN (WLAN)
- IEEE 802.15 - Wireless PAN (WPAN)
계산 문제
Data rate가 400Mbps인 네트워크에서 아래 프로토콜을 사용할 경우, maximum utilization과 그 때의 offered load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 Pure ALOHA
- Offered load : 400 * 1/2 = 200Mbps
- Maximum utilization : 400 * 0.18 = 72Mbps - Slotted ALOHA
- Offered load : 400 * 1 = 400Mbps
- Maximum utilization : 400 * 0.37 = 148Mbps (37%만 들어가는 이유는 network 내의 충돌때문에)
중요
- Non-persistent CSMA에서 idle time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persistent CSMA가 제안되었고 IEEE802.3이나 Ethernet에서 사용된다.
- p-persistent CSMA에서 p의 값이 커지면 collision의 수는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고, station들이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Ethernet에서 사용하는 binary exponential backoff algorithm은 last-in first-out의 효과를 갖기 때문에 충돌이 적게 생긴 스테이션이 충돌이 많이 생긴 스테이션 보다 먼저 전송이 되어진다.
- Bus topology를 갖는 Ethernet에서는 collision이 발생하면 정상 신호보다 높은 voltage가 생성되어 이를 detect하여 collision을 감지하는데, 이 신호도 거리에 따라 감쇠가 되어 segment의 최대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 Gigabit Ethernet에서 switching hub operation은 collision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짧은 프레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들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 Gigabit Ethernet에서 shared medium operation에서의 짧은 프레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frame bursting 방식은 스테이션이 보내고자 하는 여러 개의 짧은 프레임을 가지고 있을 떄 carrier extension 방식과 비교하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Full-duplex mode의 Ethernet에서 각 스테이션은 분리된 collision domain을 구성하기 때문에 collision이 발생하지 않고, CSMA/CD 알고리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728x90
반응형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11] LAN Overview (0) | 2022.06.11 |
---|---|
Chapter 9] WAN Technology and Protocols (0) | 2022.05.15 |
Chapter 4] Transmission Media (0) | 2022.04.21 |
Chapter 1]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 (0) | 2022.03.21 |
Chapter 2] Protocol Architecture, TCP/IP, and Internet-Based Applications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