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졸업 프로젝트 (10)
Gom3rye

서비스가 의미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Product Life cycle에 따른 일의 구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입기 : MVP 상태에서 PMF를 찾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Opportunity Solution Tree를 이용해서 온라인의 특성상 되게 좋은 서비스도 처음엔 뜨지 않을 수 있다. (사람들이 모르니까) 진짜 애자일하려면 이걸 필요한 시점에 만들고 필요없는 것들은 부술 수 있어야 한다. 성장기 : PMF의 달성을 확인 PMF를 어떻게 확인? - PMF이 맞는 것이 보이면 그 후 개발 들어간다. -> j curve 나타난다. 이 때의 맞는다는 기준은 위클리당 7~8%의 성장률을 자생적으로 보일 때 리텐션이 월별 20% 이상으로 유지되기 시작될 때 서베이를 통해 40% 이상..

- ui 전에 서비스에 대한 본질을 생각하기 - 기획은 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 - mece하다 파괴적 혁신 파괴적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은 특정한 고객군을 타깃으로 해서 그들의 니즈를 정확히 충족해서 발전해 나가겠다는 이상향을 가진다. Jobs-to-be-done (할 일 이론) 사용자는 자신만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서 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고용'한다. 사용자는 앱을 해결책으로 사용한다. 고객은 자신이 인식했을 때 자기의 문제를 제일 잘 해결할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한다. winner takes it all USP(Unique Selling Point) 가 굉장히 구체적으로 있어야 한다. (고객에게 각인 되서 받는 포인트) IT 스타트업은 이렇게 일한다. ..
Docker file - Docker image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 container - image를 실행한 상태 Docker stop - Docker Container 중지해서 이때까지 했던 일들 저장 Docker ps - 상태 표시 새로운 도커를 만들기 위해서 -> docker run ubuntu /bin/bash 이미 만든 도커에 들어가기 위해서 -> docker ps후 나의 container id를 복사해서 docker attach container id(붙여넣기) 하면 된다. (이때 실행 중이지 않은 컨테이너까지 보고 싶다면 docker ps -a) docker를 그 상태로 유지한 후 도커 밖으로 나가고 싶을 대 control을 누른 상태로 p와 q를 누르면 된다.

What is Git? Linus Torvlads가 개발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각 시점의 Snapshot을 저장 파일이 변하지 않았다면 링크만 생성 이전 시점의 파일과의 차이(Delta)를 저장 Git이 local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세가지 상태 Modified: 파일을 수정했지만 아직 local repository에 커밋하지 않은 상태 Staged: 현재 수정한 파일을 곧 커밋할 것이라고 표시한 상태 Committed: local repository에 안전하게 저장된 상태 Git 설정 Git repository 생성 로컬 directory에서 새로운 Git repository 생성 2. 이미 존재하는 Git repository를 복제(Cloning) - .git 하위 폴더를 생성하여 현재 direc..